분류 전체보기
-
Battery(1)NAN/드론의 원리 및 구성 2019. 1. 11. 15:07
모든 전자 제품이 그렇듯 드론 또한 많은 부품들이 구성되어 하나의 비행체로 모습을 갖추어 낸다. 드론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부품과 부품이 연결되어 있을것이고 하나의 부품안에서 또 여러가지 회로들이 구성되어 부품을 이루는데 부품들이 모여 드론이 됐다고해서 바로 실전에 투입될 순 없을것이다 기체가 완성 되었다면 조종기의 상태 점검과 기체와의 링크를 확인해주어야 하고 링크를 확인하기 위해선 배터리를 연결해서 기체를 최종적으로 살펴본 후 비로소 기체를 실전에 사용 할 수 있는것이다. 오늘은 가장 근본적인 에너지, 기체의 모터를 회전시켜줄 수 있는 힘인 배터리에 대해 알아보려한다. 위 사진의 배터리는 DJI의 농업용 드론인 AGRAS MG-1S의 배터리이다 외관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살펴보자 # 26..
-
IMU ( Inertia measurement unit)NAN/드론의 원리 및 구성 2018. 8. 23. 09:50
지난 글을 통해 우리는 드론의 헤드 FC란 무엇인지 알아봤고 두번째 포인트에서 'FC의 설정에 따라 기체가 안정적으로 비행 할 수 있고 반대로 조종 값에 민감하게 반응하기도 한다'고 하였는데 여기서 FC는 어떻게 안정적으로 비행을 할 수 있게 값을 계산하여 신호를 줄까? 오늘은 드론의 자세 값을 FC에 알려주는 IMU와 Compass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IMU ( Inertia measurement unit) 영문 이름 그대로 관성을 측정 해 주는 부품인데 관성이란 무엇이기에 비싼값을 주고 드론의 한 부분을 구성해야될까? 외부로부터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 정지해 있는 물체는 정지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고 하고, 운동하고 있는 물체는 등속 직선 운동을 계속하려는 성질이 있다. 이렇게 물체가 외부..
-
배터리 이상 - 3 (완)NAN/정비 2018. 8. 20. 13:03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그간의 문제가 해결 된 듯 했으나 비행 중 gps 신호가 끊기는 현상은 여전했다 오토월드와 DJI 중국 엔지니어의 협업으로 데이터 분석을 하는등의 노력을 쏟은 결과 비행도중 전압이 낮아져 기체가 이상 비행을 한 것으로 원인이 밝혀졌는데 여느 배터리 이상과 같지만 다른 방법으로 현상을 해결했다 GPS->can2. 센터보드->can1. 배터리모듈->GPS 즉 GPS 전원 공급 불안정으로 공중에서 빨간색 경고등이 뜨고, 기체가 흐르는데 이를 배터리 모듈을 GPS로 연결하면서 보안하는 방법이다 여지껏 헤매던것들은 배선 연결을 달리 하는 방법으로 해결하는건데 이 방법의 단점은 GPS 신호가 안잡힐 수 있다는것이다. 만약 위와 같은 현상으로 배선을 달리하게 된다면 기체 업데이트를 해줘야 ..
-
배터리 이상 - 2NAN/정비 2018. 8. 16. 13:14
업데이트를 통해 그간의 문제들은 사라진듯하여 테스트 비행을 다녀왔다. 조종기 화면에서 비춰지는 문제는 없는듯 하였지만 위와 같이 기체 자체에서 보내는 LED 신호가 이상이 있는데 시동은 가능하여 일단은 비행 처음엔 별 이상이 없는듯 하였으나 기체가 휘청거림과 동시에 자세 모드로 전환되어 비상 착륙에 돌입한 상태 영상에는 빨간 LED가 연속으로 5회 빠르게 나오는듯 하나 육안으로 보았을떈 빨간 LED가 두 번 깜빡 거리는것 외엔 이상이 없어보인다. 현재까지 교체 혹은 정비한것 - 외부 기압계 뽑아둠 - 센트롤 보드 교체 - 3.4 버전으로 업데이트
-
배터리 이상 - 1NAN/정비 2018. 8. 16. 13:08
최근 DJI MG-1S 기체에서 배터리 이상을 대표적으로 여러가지 에러 메세지들이 나와 사용자뿐만 아니라 엔지니어들에게도 큰 고통을 주고있다 MG-1S는 MG-1의 후속작으로 A3-AG FC와 모듈들의 변화 더블 기압계와 나침반 등 많은 변화를 가져온 제품이고 여러 회사들의 견제와 모략 속에서도 꿋꿋이 버텨낸 기체였으므로 믿고 있던 기체에 발등 찍힌 격이라 할 만큼 MG 1S의 문제는 심각하다 할 수 있겠다 뭐 심각하다는게 그간 쌓아온 이미지에 타격이 간다뿐 알고 보면 어이가 없어 허탈할만큼 해결법이 쉬운 경우도 대부분이지만 아직 실력이 미비한 나에겐 매 기체 하나 하나가 어렵고 복잡할수밖에.. 이번에 올릴 기체는 배터리 이상, 나침반 이상등으로 머리를 아프게한 기체이고 아직 해결법을 찾는 중이다.
-
FC (Flight controller)NAN/드론의 원리 및 구성 2018. 8. 14. 12:31
자동차를 나누는 대표적인 기준은 크기와 엔진의 종류 특수 목적을 가진 차량으로 나뉘어진다 그렇다면 드론은 어떨까? 일반적으로 알려진 촬영용 드론과 방제, 소방, 레이싱 ...등등 다양한 종류의 드론들이 각각의 목적에 맞게 크기가 정해지고 내부의 구성이 약간의 차이가 생길것이지만 어떤 종류의 부품을 선택할지로 나뉠뿐 드론이 공중에 뜨기까지의 과정은 같을것이다. 촬영용 드론으로 예를 들자면 카메라의 무게를 버틸만한 출력을 내야할것이고 좋은 영상을 얻기 위해선 진동과 같은 영향으로 받는 피해를 최소로 줄여야하는 임무가 주어지듯이 각 드론의 목적에 맞춰 값을 설정해야하지만 결국 드론을 띄우고 조종하는 키에 맞춰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내부 구성은 크게 다를게 없을것 그렇다면 드론을 구성하여 비행체로서의 역할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