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개인기록부
검색하기

블로그 홈

개인기록부

ondj.tistory.com/m

도넛

구독자
3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빅오(Big-O) 표기법 Big-O Big-O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수학적으로 표기해주는 표기법으로 시간과 공간 복잡도를 표현할 수 있다. Big-O 표기법은 알고리즘의 실제 러닝 타임을 표시하기보다 데이터나 사용자의 증가율에 따른 알고리즘의 성능을 예측하는게 목표이기 때문에 상수와 같은 숫자는 모두 1이 된다. 알고리즘은 궁극적으로는 컴퓨터로 구현되므로, 컴퓨터의 빠른 처리 능력을 감안하면 아무리 복잡한 알고리즘도 입력의 크기가 작으면 금방 끝나버린다. 그러므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입력의 크기가 충분히 클 때다. 충분히 큰 입력에서는 알고리즘의 효율성에 따라 수행 시간이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빅오(O, big-O)란 입력값이 무한대로 향할 때 함수의 상한을 설명하는 수학적 표기 방법이다. 시간 복잡도(Time Comp..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9. 28.
  • 시간 복잡도 빅오, 자료형 컴퓨터 과학에서 빅오(Big-O)는 입력값이 커질 때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시간 복잡도)과 함께 공간 요구 사항(공간 복잡도)이 어떻게 증가하는지를 분류하는 데 사용 되며,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 빅오(O, big-O)란 입력값이 무한대로 향할 때 함수의 상한을 설명하는 수학적 표기 방법이다 먼저, 빅오는 점근적 실행 시간(Asymptotic Running Time)을 표기할 때 가장 널리 쓰이는 수학적 표기 방법 중 하나로 점근적 실행 시간이란 입력값 n이 커질 때, 즉 입력값이 무한대를 향할 때 lim 함수의 실행 시간의 추이를 의미한다. 알고리즘은 궁극적으로는 컴퓨터로 구현되므로, 컴퓨터의 빠른 처리 능력을 감안하면 아무리 복잡한 알고리즘도 입..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9. 28.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